Log in

goodpods headphones icon

To access all our features

Open the Goodpods app
Close icon
Talk To Me In Korean - TTMIK Level 5 Lesson 17

TTMIK Level 5 Lesson 17

04/07/11 • 18 min

Talk To Me In Korean

Level 5 Lesson 17 - -(ᄂ/는)다는, -(ᄂ/는)다고 In this lesson, we take a look at the verb ending -(ᄂ/는)다는 and -(ᄂ/는)다고. Before we go on and explain this, however, it would be a good idea to briefly review some of the previously introduced verb endings that are related to this. Level 5 Lesson 10: NOUN + -(이)라고 + VERB related to speaking or communication Ex) NOUN + -(이)라고 + 말하다 = to say that something is NOUN, to say “NOUN” NOUN + -(이)라고 + 쓰다 = to write that something is NOUN, to write down “NOUN” Level 5 Lesson 12: NOUN + -(이)라는 + NOUN Ex) NOUN + -(이)라는 + 사람 = a person who says he is NOUN, a person who’s called NOUN NOUN + -(이)라는 + 곳 = a place that’s called NOUN Level 5 Lesson 16: VERB + -(ᄂ/는)다 Ex) 가다 (= to go) → 나 먼저 간다. (= Hey, I’m going to go.) 먹다 (= to eat) → 나 이거 먹는다. (= Hey, I’m going to eat this.) 오다 (= to come) → 전화 온다. (= Hey, the phone is ringing.) And the verb ending we are introducing in this lesson is a COMBINATION of -(이)라고 and -(ᄂ/는)다. The “NOUN + -(이)라고 + VERB” structure is used when you want to say “(they) say that (something is) + NOUN”. And when you want to say “(they) say that (something) + VERB”, you change “라" to “다". NOUN + -라고 → VERB + -다고 But this is not it. In order to change a verb into the -다고 form, you need to use the narrative form, which we introduced in the previous lesson. NOUN + -(이)라고 + 말하다/하다/쓰다/적다/부르다/etc VERB + -(ᄂ/는)다고 + 말하다/하다/쓰다/적다/부르다/etc (* 말하다 = to say / 하다 = to say / 쓰다 = to write / 적다 = to write down / 부르다 = to call) Examples - Combined with 말하다 (= to say) Action Verbs 가다 → 간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one is going, to say that someone will go) 보다 → 본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one sees something, to say that someone is going to see something) Decriptive Verbs 좋다 → 좋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thing is good) 크다 → 크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thing is big) - Combined with 듣다 (= to hear) Action Verbs 오다 → 온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thing/someone is coming) 먹다 → 먹는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one is eating something) Descriptive Verbs 비싸다 → 비싸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thing is expensive) 맛있다 → 맛있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thing is delicious) Sample Sentences (of both -(이)라고 and -(ᄂ/는)다고) 1. 뭐라고 했어요? [mwo-ra-go hae-sseo-yo?] = What did you say? 2. 전화 온다고 했어요. [jeon-hwa on-da-go hae-sseo-yo.] = I said that your phone is ringing. 3. 그 사람이 내일 온다고 해요. [geu sa-ra-mi nae-il on-da-go hae-yo.] = He says that he will come tomorrow. 4. 그 사람이 언제 온다고 했어요? [geu sa-ra-mi eon-je on-da-go hae-sseo-yo?] = When did he say he would come? 5. 그 사람이 이거 뭐라고 했어요? [geu sa-ra-mi i-geo mwo-ra-go hae-sseo-yo?] = What did he say this was? 6. 한국은 겨울에 정말 춥다고 들었어요. [han-gu-geun gyeo-u-re jeong-mal chup-da-go deu-reo-sseo-yo.] = I heard that it’s very cold in winter in Korea. 7. 여기에 뭐라고 써야 돼요? [yeo-gi-e mwo-ra-go sseo-ya dwae-yo?] = What should I write here? 8. TTMIK이 좋다고 쓰세요. [TTMIK-i jo-ta-go sseu-se-yo.] = Write that TTMIK is good. 9. 저도 간다고 말해 주세요. [jeo-do gan-da-go ma-rae ju-se-yo.] = Please tell them that I am going to go, too. 10. 이거 재미있다고 들었어요. [i-geo jae-mi-it-da-go deu-reo-sseo-yo.] = I heard that this is fun. ** Bonus Sample Sentences (using -(ᄂ/는)다는 before nouns) 11. TTMIK이 재미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. [TTMIK-i jae-mi-it-da-neun i-ya-gi-reul deu-reo-sseo-yo.] = I heard (a story that) someone (was) saying that TTMIK is fun. 12. 저도 간다는 메시지를 남겼어요. [jeo-do gan-da-neun me-si-ji-reul nam-gyeo-sseo-yo.] = I left a message saying that that I would go too. 13. 한국어를 공부한다는 내용이에요. [han-gu-geo-reul gong-bu-han-da-neun nae-yong-i-e-yo.] = It’s a story/content that (someone) is studying Korean. 14. 경은 씨가 제주도에 간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. [gyeong-eun ssi-ga je-ju-do-e gan-da-neun i-ya-gi-reul deu-reo-sseo-yo.] = I heard (a story that) someone (was) saying that Gyeong-eun was going to Jeju Island. 15. 지금 간다는 사람이 없어요. [ji-geum gan-da-neun sa-ra-mi eop-seo-yo.] = There is no one that says that they will go.

plus icon
bookmark

Level 5 Lesson 17 - -(ᄂ/는)다는, -(ᄂ/는)다고 In this lesson, we take a look at the verb ending -(ᄂ/는)다는 and -(ᄂ/는)다고. Before we go on and explain this, however, it would be a good idea to briefly review some of the previously introduced verb endings that are related to this. Level 5 Lesson 10: NOUN + -(이)라고 + VERB related to speaking or communication Ex) NOUN + -(이)라고 + 말하다 = to say that something is NOUN, to say “NOUN” NOUN + -(이)라고 + 쓰다 = to write that something is NOUN, to write down “NOUN” Level 5 Lesson 12: NOUN + -(이)라는 + NOUN Ex) NOUN + -(이)라는 + 사람 = a person who says he is NOUN, a person who’s called NOUN NOUN + -(이)라는 + 곳 = a place that’s called NOUN Level 5 Lesson 16: VERB + -(ᄂ/는)다 Ex) 가다 (= to go) → 나 먼저 간다. (= Hey, I’m going to go.) 먹다 (= to eat) → 나 이거 먹는다. (= Hey, I’m going to eat this.) 오다 (= to come) → 전화 온다. (= Hey, the phone is ringing.) And the verb ending we are introducing in this lesson is a COMBINATION of -(이)라고 and -(ᄂ/는)다. The “NOUN + -(이)라고 + VERB” structure is used when you want to say “(they) say that (something is) + NOUN”. And when you want to say “(they) say that (something) + VERB”, you change “라" to “다". NOUN + -라고 → VERB + -다고 But this is not it. In order to change a verb into the -다고 form, you need to use the narrative form, which we introduced in the previous lesson. NOUN + -(이)라고 + 말하다/하다/쓰다/적다/부르다/etc VERB + -(ᄂ/는)다고 + 말하다/하다/쓰다/적다/부르다/etc (* 말하다 = to say / 하다 = to say / 쓰다 = to write / 적다 = to write down / 부르다 = to call) Examples - Combined with 말하다 (= to say) Action Verbs 가다 → 간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one is going, to say that someone will go) 보다 → 본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one sees something, to say that someone is going to see something) Decriptive Verbs 좋다 → 좋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thing is good) 크다 → 크다고 말하다 (= to say that something is big) - Combined with 듣다 (= to hear) Action Verbs 오다 → 온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thing/someone is coming) 먹다 → 먹는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one is eating something) Descriptive Verbs 비싸다 → 비싸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thing is expensive) 맛있다 → 맛있다고 듣다 (= to hear that something is delicious) Sample Sentences (of both -(이)라고 and -(ᄂ/는)다고) 1. 뭐라고 했어요? [mwo-ra-go hae-sseo-yo?] = What did you say? 2. 전화 온다고 했어요. [jeon-hwa on-da-go hae-sseo-yo.] = I said that your phone is ringing. 3. 그 사람이 내일 온다고 해요. [geu sa-ra-mi nae-il on-da-go hae-yo.] = He says that he will come tomorrow. 4. 그 사람이 언제 온다고 했어요? [geu sa-ra-mi eon-je on-da-go hae-sseo-yo?] = When did he say he would come? 5. 그 사람이 이거 뭐라고 했어요? [geu sa-ra-mi i-geo mwo-ra-go hae-sseo-yo?] = What did he say this was? 6. 한국은 겨울에 정말 춥다고 들었어요. [han-gu-geun gyeo-u-re jeong-mal chup-da-go deu-reo-sseo-yo.] = I heard that it’s very cold in winter in Korea. 7. 여기에 뭐라고 써야 돼요? [yeo-gi-e mwo-ra-go sseo-ya dwae-yo?] = What should I write here? 8. TTMIK이 좋다고 쓰세요. [TTMIK-i jo-ta-go sseu-se-yo.] = Write that TTMIK is good. 9. 저도 간다고 말해 주세요. [jeo-do gan-da-go ma-rae ju-se-yo.] = Please tell them that I am going to go, too. 10. 이거 재미있다고 들었어요. [i-geo jae-mi-it-da-go deu-reo-sseo-yo.] = I heard that this is fun. ** Bonus Sample Sentences (using -(ᄂ/는)다는 before nouns) 11. TTMIK이 재미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. [TTMIK-i jae-mi-it-da-neun i-ya-gi-reul deu-reo-sseo-yo.] = I heard (a story that) someone (was) saying that TTMIK is fun. 12. 저도 간다는 메시지를 남겼어요. [jeo-do gan-da-neun me-si-ji-reul nam-gyeo-sseo-yo.] = I left a message saying that that I would go too. 13. 한국어를 공부한다는 내용이에요. [han-gu-geo-reul gong-bu-han-da-neun nae-yong-i-e-yo.] = It’s a story/content that (someone) is studying Korean. 14. 경은 씨가 제주도에 간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. [gyeong-eun ssi-ga je-ju-do-e gan-da-neun i-ya-gi-reul deu-reo-sseo-yo.] = I heard (a story that) someone (was) saying that Gyeong-eun was going to Jeju Island. 15. 지금 간다는 사람이 없어요. [ji-geum gan-da-neun sa-ra-mi eop-seo-yo.] = There is no one that says that they will go.

Previous Episode

undefined - TTMIK Iyagi 52 PDF

TTMIK Iyagi 52 PDF

 

경은: 안녕하세요. 현우 씨.

현우: 안녕하세요. 경은 씨.

경은: 안녕하세요. 여러분.

현우: 이야기 시간이 돌아왔는데요. 오늘은 경은 씨.

경은: 네.

현우: 등산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는 거 어때요?

경은: 등산이요?

현우: 네.

경은: 현우 씨. 등산 간 적 없잖아요.

현우: 저 등산 간 적 많아요.

경은: 많아요?

현우: 네.

경은: 어렸을 때요?

현우: 어렸을 때 많이 갔었고, 대학교가서 몇 번 갔었는데, 최근에는 안 가죠. 등산이 재미없어져서 안 가는데, 등산은 굉장히 좋은 거라고 생각해요.

경은: 건강에 좋죠.

현우: 네. 경은 씨. 등산이 뭐죠? 쉽게 설명하면?

경은: 산을 오르는 거요.

현우: 네. 산에 가는 거죠.

경은: 네. 산에 가는 거죠.

현우: 산에 가서 산꼭대기까지 계속 올라가는 거죠.

경은: 네. 맞아요.

현우: 걸어서 올라가는 거니까 아무나 할 수 있는데, 무릎이 아프거나 허리가 아프면 못 가겠죠?

경은: 네. 무릎이 안 좋은 사람들은 등산이 안 좋다고 하더라고요,

현우: 안가는 게 좋아요. 그런데 만약에 걷는 데에 특별히 어려움이 없으면 등산 가면 굉장히 운동도 많이 되고 또 기분 전환도 많이 되고 좋은 것 같아요.

경은: 그래요?

현우: 별로 동의하지 않으시는 것 같은데.

경은: 저는 등산을 싫어해요.

현우: 왜요?

경은: 등산. 옛날에 회사 다닐 때, 등산을 억지로 간 적이 있었어요. 억지로 간 적이 많았어요. 그래서 싫어졌어요.

현우: 회사에서 예전 회사에서 억지로 등산을 가기 전에 혼자서 개인적으로 가 본 적은 있어요?

경은: 혼자서 가 본 적은 없는데요, 어렸을 때 저희 아빠가 항상 저희 남동생이랑 저랑 데리고 등산을 많이 다녔어요. 그래서 어렸을 때는 굉장히 좋아했었고요, 잘 다녔어요.

현우: 저는 오히려 어렸을 때는 많이 안 좋아했는데 왜냐하면 힘드니까 나중에 군대 가서 등산을 하잖아요.

경은: 군대 가면 더 싫지 않아요?

현우: 그러고 나니까 힘들지만 등산이 쉬워지는 거예요. “이 정도 쯤이야 뭐.” 그래서 나중에 군대 다녀와서 가끔씩 낮은 산 같은 데 올라가면 너무 쉽고 산책하는 것 같고 그러니까 “이 정도면 자주 할 만하겠다.”하는데 생각은 했지만 그 뒤로 등산은 많이 안 갔어요.

경은: 최근에 저 간 적 있었거든요. 관악산 알아요? 관악산? (네. 알아요.) 관악산이 서울에 있는 산 중에서 굉장히 힘든 산이에요. 오르기가 굉장히 힘든 산으로 알고 있어요. “악”이 들어가는 산은 힘들다고 하더라고요.

현우: 관악산. 북악산.

경은: “악”이 들어가 있는 산은 힘들다고 해요. 친구가 저를 속였어요. “굉장히 쉬운 코스로 갈 수 있다. 딱 2시간 만에 등산을 하고 내려올 수 있다. 완전 산책 코스다.” 이렇게 저를 속여서 갔는데 5시간 걸렸어요. 5시간 걸리고, 다리에 알 베기고 죽는 줄 알았어요.

현우: 안 죽었잖아요.

경은: 안 죽었죠.

현우: 등산 할 수 있는 좋은 산들이 서울에 굉장히 많이 있는데 서울 아니고 다른 곳에도 유명한 산들 많이 있죠?

경은: 네.

현우: 제일 먼저 떠오르는 유명한 산은 제주도에 있는 한라산.

경은: 한라산 안 가 봤어요. 저 가 보고 싶어요. 굉장히 아름답다고 하더라고요.

현우: 한라산은 또 다른 산하고 다르게 등산하는 기분이 안 들고 산책하는 기분이 정말로 들어요.

경은: 굉장히 힘들다던데요.

현우: 한라산 끝까지 올라가려면 그렇고, 한라산이 제주도 자체가 한라산이니까, 한라산이 이어져 있으니까 여러 곳이 있어요. 쉽게 갈 수 있는 관광지 같은 곳도 있고, 저도 한라산 중간까지는 올라간 적이 있는데 눈 오는 날. 정말 힘들었어요.

경은: 한국에는 산이 참 많은 것 같아요.

현우: 네. 그리고 제 고향인 광주에는 무등산이라는 곳이 있고, 아무튼 한국에서는 산에 가고 싶다고 하면 어디에 있던지 한 시간 안에 산에 갈 수 있어요.

경은: 진짜.

현우: 제가 아는 다른 도시들은 산이 없어요. 그래서 산에 가고 싶어도 몇 시간 동안 차를 타고 가야 하는 곳도 있는데, 한국은 그런 면에서 보면 좋은 것 같아요.

경은: 근데 주말에는 조금 피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. 요즘에 등산하는 게 굉장히 유행이 됐어요. 그래서 주말이 되면 아줌마, 아저씨들, 요즘에는 젊은 친구들까지 등산을 많이 해요, 그래서 주말이 되면 산을 구경할 수가 없고 그냥 사람을 구경할 수 있어요.

현우: 앞 사람 등.

경은: 앞 사람 등하고 굉장히 다양한 색깔의 등산복들 구경할 수 있어요.

현우: 그런데 등산복 얘기하니까 또 생각이 났는데 제 외국인 친구들인 “한국 사람들은 왜 등산을 할 때 전문적인 복장을 하고 가느냐?” 라고 물어본 적이 있어요.

경은: 맞아요. 저 그때 관악산 갔을 때도 한국 사람들은 전부 다 등산복을 입고, 등산화를 신고 다니잖아요. 근데, 정말 정상에서 외국인들이 샌들을 신고 등산을 하는 거예요. 그래서 너무 깜짝 놀랐어요. 반바지에 샌들 신고 정말 편한 옷차림으로 등산을 온 거예요. 저는 정말 깜짝 놀랐어요.

현우: 저는 등산을 가면서 한 번도 등산복을 입고 등산화를 신고 간 적은 없어요. 그냥 운동화, 청바지, 이렇게 입고 이렇게 신고 갔었는데, 특별히 어려움은 못 느꼈거든요.

경은: 미끄러지는 것 같아요. 제가 느끼기에는.

현우: 그리고 또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무릎이 아프거나 등산을 가고 싶으면 힘이 덜 드는 신발이라던가, 아니면 지팡이 이런 걸 쓸 수는 있겠죠. 자주 다니다 보면 옷도 금방 더러워지고 땀도 많이 나고 그러니까 땀이 잘 통하는 바람이 잘 통하는 그런 옷 입고 싶고 하다 보니까 점점 전문적인 등산복을 갖추게 되는 것 같은데, 등산이 인기를 끄는 이유가 돈이 안 들잖아요?

경은: 네. 원래는 안 드는 게 맞는데.

현우: 원래는 안 들죠. 그런데 등산복을 사고 등산을 하기 위해서 멀리까지 차를 타고 가고, 그리고 차를 타고 다녀와서 밥을 먹고 하면 굉장히 돈이 많이 들어요.

경은: 맞아요. 돈이 정말 많이 들어요. 그래도 그런 거 신경 안 쓰면 정말 좋은 취미인 것 같아요. 건강에도 너무 좋고요.

현우: 그리고 여행하는 사람들한테는 등산이 좋을 수 있는 게, 등산을 해서 서울에 있는 높은 산에 올라가면 서울이 다 보이잖아요.

경은: 맞아요.

현우: 다른 도시에서는 이게 안 될 수도 있어요.

경은: 그러네요.

현우: 그렇죠?

경은: 네.

현우: 높은 건물에 올라가야만 볼 수 있는데, 서울은 웬만한 산에 올라가면 서울을 내려다 볼 수 있어요.

경은: 그리고 계곡 물 소리도 들을 수 있고, 공기도 좋고, 좋은 것 같아요.

현우: 경은 씨나, 저나 등산을 자주 하지는 않지만. 등산 자체는 굉장히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추천하니까 여러분도 서울에 오시면 북악산, 관악산, 수락산, 도봉산, 이런 곳들이 있잖아요. 굉장히 많이 있으니까 한 번 가 보시는 게 어떨까 생각해요.

경은: 저는 앞으로는 등산 다니려고 해요. 진짜로요.

현우: 못 믿겠는데요.

경은: 진짜예요. 진짜로 앞으로는 등산 다닐 거예요. 제가 사진 올릴게요.

현우: 네. 그러세요.

경은: 여러분 그러면 등산에 대한 이야기 저희한테 해 주세요.

현우: 여러분 나라에는, 그리고 여러분이 살고 있는 도시에는 등산을 할 수 있는 산이 많이 있는지 궁금하고요, 또 사람들이 등산을 많이 가는지 궁금해요....

Next Episode

undefined - TTMIK Level 5 Lesson 4 PDF

TTMIK Level 5 Lesson 4 PDF

TTMIK Level 5 Lesson 4 - I guess, I assume (-나 보다)

In this lesson, we look at how to say “I guess ...”, “I assume ...” or “I suppose …” in Korean. We have already learned how to use -것 같다 [-geot gat-da] to express “I think …” or “it seems that …” in a previous lesson. Today’s key structure is somewhat similar to -것 같다 in meaning, but it has a stronger nuance of “I assume … based on this fact” or “I suppose … because …”.

-나 보다 [-na bo-da] = I assume, I suppose, I guess

This is usually only used when you are talking about people other than yourself. But when you talk about yourself using this -나 보다 structure, you are referring to yourself as a third person, making assumptions about why or how you have done something.

Ex) I guess you don’t like coffee.
Ex) I guess I never heard about it.

-나 보다 is only used with action verbs.
For descriptive verbs, you need to use a different structure, which we will introduce in the next lesson.

Conjugation:
[present tense]
Verb stem + -나 보다 [-na bo-da]

[past tense]
Verb stem + -았/었/였 + -나 보다 [-at/eot/yeot + -na bo-da]

Ex)
하다 = to do
하 + -나 보다 = 하나 보다 [ha-na bo-da] = I guess they do + something

→ [present tense] 하나 봐요.
→ [past tense] 했나 봐요

Episode Comments

Generate a badge

Get a badge for your website that links back to this episode

Select type & size
Open dropdown icon
share badge image

<a href="https://goodpods.com/podcasts/talk-to-me-in-korean-37274/ttmik-level-5-lesson-17-1512527"> <img src="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goodpods-images-bucket/badges/generic-badge-1.svg" alt="listen to ttmik level 5 lesson 17 on goodpods" style="width: 225px" /> </a>

Copy